1. samba 다운로드
-> sudo apt-get install samba
2. 삼바 설정파일을 수정하여 공유하고싶은 폴더를 지정
-> /etc/samba/smb.conf 를 수정해야 한다
가장 아래에 내용을 추가
[DATA] //공유할 디렉토리의이름(다른컴퓨터상에서 보여질이름)
comment = Linux Share Directory //그냥 설명
path = /var/DATA //공유할 디렉토리경로
guest ok = yes //게스트허용할것인가
writable = yes //쓰기권한을 줄것인가
browseable = yes //다른컴퓨터에게 보여질것인가(이걸 no로한다면 숨김공유)
3. 권한 설정
chmod 777 /var/DATA
4. 윈도우에서 접근
-> 우분투에서 ifconfig을 쳐서 나오는 IP가 접근 IP이다.
-> 윈도우에서 [실행] -> \\IP주소 -> 공유설정한 폴더가 보이면 완료
// 여기까지하면 설정은 끝났고 이제 사용자 로그온을 사용할 것인가 아닌가로 나뉜다 //
< 사용자 권한 사용할 때 >
1. 사용자 계정 생성
-> smbpasswd -a 사용자ID (이것을 우분투 로그인 ID로 해야하는듯 하다. 정확하지 않음)
-> 비밀번호 두번 입력
-> 생성 완료
2. 폴더접근 시 생성한 ID와 비번을 쳐서 접근 가능
< 사용자 권한 사용하지 않을 때 >
1. smb.conf 수정
-> smb.conf 파일에 security = user 를 -> security = share 로 수정
2. 로그온 없이 바로 폴더에 접근 가능
-------------- next part --------------
An HTML attachment was scrubbed...
|